0414 스페인의 역사 PDF

Title 0414 스페인의 역사
Course 스페인어권 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of the Hispanic Culture)
Institution 서울대학교
Pages 3
File Size 92 KB
File Type PDF
Total Downloads 36
Total Views 150

Summary

필기 장재준...


Description

스페인을 거쳐 간 민족 1. 선주민 이베로족/켈트족 2. 페니키아/그리스/카르타고 3. 로마화 4. 게르만(비시고트, 서고트)족 5. 이슬람문화 1. 선주민 이베로족/켈트족 이베로족 -이베리아 반도 동남부 -독자적 문자 체계, 화폐 -Dama de Baza, Dama de Elche 켈트족 -이베리아 반도의 북서부, 메세타 거주 -이베로 족과 융합하여 켈티베리아 족 (celtíberos) 을 형성(동남부의 이베로 족과 북서부의 켈트 족이 서로 만나는 중앙 메세타 지역의 혼혈 형태) -Toros de Guisando -갈라시아 지방 셀타비고, 스코트랜드 셀틱, 농구 보스턴 셀틱 -가이타(La gaita) : 갈리시아 전통 악기 -카를로스 누녜스 바스크족 -비 인도-유럽어 -기원 불분명 -독자성 강하다 + 메세타: 중부지역 거대한 고원으로 마드리드는 안도라 제외하면 유럽에서 가장 높은 수도

2. 페니키아/그리스/카르타고 페니키아인 -카디스 말라가에 도시 건설 -알파벳, 자주염료, 자금성, 백향목, 배, 은 채울 그리스인 -상업적

카르타고인 -지중해 연안에 Cartago Nova(Cartagena, Murcia) 건설 -로마인들과의 전투 시작 -2차 포에니 전쟁 결과 이베리아 반도에서 축출 +말라가는 안익태가 거주했던 곳 +카디스는 무역의 도시로 대항해시대를 이끌었다. 21세기 카디스는 마약의 소굴 이때, Americo Vespucio는 자신의 이름을 따 America 명명함 3. 로마화 -누만시아 전투 : 지세가 험준하고 다양한 종족 공존해 험난했다. 이때 스페인 원주민들은 격렬히 저항했으며 스페인 민족주의의 심원한 뿌리가 되었다. 로마인 다음으로는 유대인이 진출하였고, 집시는 가장 늦게 정착한 사람들이다. -최초로 내륙과 해안 연결 -도로정비 ex. 메리다의 pavement -로마 다리, 원형 노천 극장 in 메리다 -로마 수로 in 세고비아 -로마 등대 in 라코루냐 (갈리시아 지방) -달력 사용, 로마법 제정, 올리브& 포도, -라티푼디움 : 고대 로마시대의 대토지소유제도 -이때 활약한 이베리아 반도인들 세네카: 스토아학파의 스페인 철학자 퀼틸리아누스: 수사학의 대부 트리야누스, 하드리아누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테오도시우스(기독교 국교화) : 로마 황제

4. 게르만(비시고트, 서고트)족 반달족과 수에비족 -톨레도 수도: 전체가 세계유산 -엘 그레코: 세계적 화가로 그리스에서 와 톨레도에서 활동 -낮은 문명으로 로마 문화 흡수해 라틴어 사용, 기독교 흡수 -7세기 말 사회적 갈등 격화되어 지브롤터 너머 아랍인들 불러오는 계기 이때 이들이 유대인들 박해해, 유대인들 역시 아랍인들을 환영함 5. 이슬람문화 아랍인들이 Granada까지 장악 Emirato는 에미르가 통치하는 이슬람 영토를 뜻하며, 수도는 코르도바이다. 이때 있었던 아스투리아 왕국은 훗날 레온 왕국이 된다.

6. Reconquista (1492년 완성) 반이슬람 진영이 수복 기독교인들이 서고트족 부흥 꿈꾸며 회복하려는 움직임이다 +Covadonga 전투(718): 칸타브리아 산맥에서 전개된 전투로 민족주의의 성지이다. Pelayo 장군이 큰 공을 세웠다. 카스티야 & 레온 통합 (1230) 카스티야 & 아라곤(->카탈루냐) 통합 (1469-> 18세기 초 완전히 집어삼킴) 나바라 왕국(-바스크+카탈루냐) (824-1841) 나사리 왕조(1238~1492) 알람브라 궁전 위치한 그라나다 지방

∴ 이베로족, 켈트족 등 토착문화 위에 카르타고,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아랍 문화 얹어져 독특한 문화 형성됨....


Similar Free PDFs